top of page

하나님의 역사인가 우연인가?_삼상 6:1-9

주전 1102년 블레셋은 이스라엘과의 아벡전투에서 승리하여 법궤를 빼앗아 돌아오면서 승리의 기쁨에 도취하여 법궤를 이리저리 보냈지만, 법궤가 가는 곳에는 전에 없던 재난이 일어났다. 이것은 하나님의 역사인가, 우연인가?



1. 블레셋에 임한 재앙(삼상 5:11-12)


(1) 아스돗의 다곤 신당 곁에 법궤를 두었는데, 다곤의 머리와 두 손목이 끊어져 몸둥이만 남았고, 여호와 하나님의 손이 독종의 재앙으로 아스돗과 그 지경을 쳐서 망하게하셨다(삼상 5:1-8).


(2) 법궤를 가드로 옮겨간 후에도 ‘여호와의 손이 심히 큰 환난을 그 성에 내려 독종’이 나게 하셨다(삼상 5:9).


(3) 법궤가 에그론으로 옮겨졌지만, 하나님의 손이 엄중하시므로 사망의 환난을 당했다(삼상 5:11-12). 이에 블레셋 사람들은 ‘법궤를 어떻게 할꼬?’ 의논했다.



2. 이 세상의 모든 역사는 하나님의 역사인가, 우연인가?


(1) 아합왕의 죽음 : 아합은 아람과의 길르앗 라못 전쟁에 나가서 한사람이 우연히 쏜 화살에 맞아 죽고 말았다. 사마리아로 돌아와 그의 병거를 못에 씻을 때 개들이 아합의 피를 핥았는데, 나봇의 포도원을 빼앗고 나봇을 죽인 것에 대한 죄값으로 하나님이 말씀하신대로 당한 죽음이었다(왕상 22:34-38/왕상 21:19).


(2) 3차 귀환의 계기 : 하만이 모르드개와 유다인 전체를 아달월 13일 한날에 죽이는 계략을 세웠다(에 3:5-13). ① 때마침 밤에 왕이 잠이 오지 않아 역대일기를 읽다가 ‘빅다나와 데레스’의 왕의 모살 사건을 모르드개를 통해 면할 수 있었던 것을 알게 되고, 마침 왕에게 나타난 하만을 통해 모르드개를 높여주었다(에 6:1-10/에 2:21-23). ⓶ 민족의 위기를 이기기 위해 유다인 전체 금식기도와 에스더 왕후도 금식하고 왕에게 나아갔을 때, 왕이 에스더에게 ‘그대의 소청이 무엇이냐’ 물었다. 에스더는 ‘민족의 생명을 요구’하며, 하만의 계략을 고발하게 되었고(에 7:2-6), 하만과 그의 가족이 죽임을 당했다. 이 과정이 우연히 일어난 것같이 보이지만, 이 사건으로 ‘포로 귀환령’을 잊고 살던 유다인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고 본토로 귀환하게 되는 하나님의 역사였다.


(3) 법궤를 보내는 과정 : 법궤를 본토로 보내기 위해 ‘멍에를 메어 보지 않은 젖 나는 소 둘에 수레를 메우고 여호와의 궤를 그 수레에 싣고’ 실어 보내되, 법궤가 곧바로 벧세메스로 가면 이 땅에 임한 재앙이 하나님의 역사이고, 아니면 우연으로 판가름하려 했다. 우연이란 말은 많은 사람을 운명론에 빠지게 하는 함정이다. 현대인은 우연이란 우상 앞에 포로가 되어 있다. 블레셋 사람들은 법궤를 빼앗아 올 때 마치 자신들이 승리한 줄 알았지만, 하나님의 임재의 상징인 법궤가 친히 블레셋 땅으로 들어가 그들의 죄악을 징계하신 것이고, 법궤를 잃어버린 이스라엘에게도 그들의 범죄를 징계하신 것이다.



결론 : 하나님의 역사에 묵묵히 따르던 말 못 하는 암소를 통해 하나님은 블레셋 사람들이 믿은 ‘우연, 운, 운명이란 우상’을 깨뜨리셨다.

벧세메스란 ‘태양의 집, 밝음의 땅’이란 뜻이다(삼상 6:7). 그 길로 향하던 두 소는 좌우로 치우치지 않고 곧장 벧세메스로 향했다. 우리도 우연이란 허망을 걸고 좌우로 치우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역사를 바라보고 ‘태양의 집, 밝음의 땅’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시 55:22, 66:9). 참새 한 마리도 하나님의 허락 없이는 떨어지지 않는다(마 10:29, 눅 12:6).


오인정 전도사

2021년 04월 25일 정기집회


조회수 13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