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하나님을 섬기는 백성(맥추감사절)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강권적인 역사로 애굽에서 유월절을 지키고 출애굽 하여 ‘하나님을 섬기는 백성’으로서 시내광야에 도착하였다(출 19;1). 이곳에서 약 1년여 머물며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을 섬기(아바드=일하다, 예배하다)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계시해주셨다.



1. 하나님을 섬기는 백성에게 주신 새 달력과 절기

출애굽 직전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새 달력을 주셨다(출 12:2). 새 달력을 통해 하나님은 안식일과 절기(3대 절기-유월절, 맥추절, 수장절)를 명령하시며 하나님을 섬기는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시간 속에서 살게 하셨다.



2. 맥추절의 의미

(1) 유월절 다음에 지키는 절기

① 유월절 : 출애굽을 기념하는 해방의 절기(어린양 희생을 통한 구원의 은혜)

② 맥추절 : 유월절로부터 7주를 계수하여 50일째 되는 날에 지키는 절기, 하나님이 주신 땅에서 노력해서 얻은 첫 곡식을 드리는 감사와 기쁨의 절기


(2) 모세가 십계명을 받은 날 : 이스라엘은 애굽에서 유월절을 지키고 출애굽 하여(BC1446.1.15), 시내 광야(3/1)에 도착하였다(출 19;1). 그리고 시내산 4차 등정 시(3/6) 하나님은 십계명과 율법을 주셨는데, 이때는 출애굽한 지 50일째 되는 날


(3) 예수님이 이 땅에서 ‘유월절 어린양’(고전 5:7)으로서 인류의 죄를 지시고 십자가에 달려 죽으시고 부활하신 후 50일째 되는 날 오순절 성령 감림이 있었다(행 2:1-4). 이날을 기점으로 교회 운동이 시작되어 세계 각 교회가 탄생하였다.



3. 맥추절을 지키는 방법(신 16:9-11)

(1) 주신 분복대로 감사하며 지켜야 한다.


(2) 누가 지켜야 하는가? 출애굽하여 가나안 땅에 거하며 가나안 땅 첫 수확의 열매를 먹은 모든 자들(고아, 과부, 종, 객까지)


(3) 어디서 지키는가? 하나님이 임재하시고 하나님의 영광이 계시는 교회


(4) 맥추절 때 먹는 음식 : 유월절 때에는 무교병을 먹었지만, 맥추절 때에는 유교병(누룩넣은 떡)을 먹었다(레 23:17). 시내산 언약으로 주신 십계명과 율법은 좋은 누룩과 같다. 오순절 성령강림의 역사로 좋은 누룩(복음)을 가진 사도들이 복음을 전하며 교회시대의 많은 열매를 거두었다(요 12:24).



결론 : 우리가 가지고 나아 가야할 맥추의 첫 열매는 무엇인가?

예수님은 ‘부활의 첫 열매(고전15:20)’가 되셨다. 예수를 영접한 스데바나의 집은 ‘아가야의 첫 열매’가 되었다(고전 16:15). 첫 열매가 많은 열매를 맺고, 많은 가능성을 가지고 오듯이 오늘 우리의 진정한 감사의 첫열매가 많은 가능성을 생성하고 더 많은 열매와 가능성으로 아버지께 영광 돌리는 역사가 있을 것이다.



오인정 전도사

2021년 07월 04일 정기집회


조회수 5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