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이삭의 선택과 장자의 축복 (창 27:28-29)

서론(장자의 축복이란)

본문은 이삭이 야곱에게 허락하는 장자의 축복 내용이다.


❶하늘의 이슬과 땅의 기름짐과 풍성한 곡식과 포도주를 주시겠다.

❷만민이 너를 섬기고 열국이 네게 굴복할 것과 형제들의 주인이 되고 그들이 굴복할 것이다.

❸네게 저주하는 자는 저주를 받고 네게 축복하는 자는 복을 받기 원한다.


이 세 가지의 복을 장자의 축복이라고 하고 그 복을 계승한 자가 다시 다음 후손에게 승계하는 과정에서의 태도는 어떠해야 하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는 말씀이다(창27:1-40).


본론 : 이삭의 선택


1. 이삭은 부지중에 야곱을 축복하였다(창27:23).

창세기 27:23에서 “능히 분별치 못하였다”고 말씀하고 있다. 이 문장에 쓰인 히브리어 단어는 ‘나카르 rk'n:’’ 인데 뜻은 ‘심사숙고하다’, ‘철저히 세밀하게 조사하다’이다. 여기에 절대 부정사 ‘로 aOl’가 붙어서 “심사숙고 하지 않고 세밀하게 조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때문에 이삭은 자신의 잘못을 인식하여 “심히 크게 떨며”라고 말씀하고 있다(창27:33). 그래서 야곱은 부지중(不知中)에 야곱에게 장자의 축복을 한 것이 맞다.


2. 이삭은 나중에 믿음으로 장자의 축복을 야곱에게 거행하였다(히11:20)

히브리서 11:20에서 이삭은 믿음으로 야곱을 축복했다고 말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1) 이삭이 자신의 생각을 즉시 버렸기 때문이다.

이삭은 에서를 야곱보다 더 사랑했다(창25:28). 그 이유는 에서가 잡아온 고기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야곱이 축복을 받고 나가자 바로 에서가 들어와서 축복해줄 것을 요구하였지만 이미 야곱에게 다 주었다고 단호하게 거절하여 자신의 인간적인 생각을 즉시 버리고 더 나아가 야곱에게 준 축복이 정당함을 선언했다(창27:33下). 이런 이삭의 선택을 히브리서 기자는 ‘믿음’이라고 증거 하고 있다(히11:20).


2) 이삭이 하나님의 주권 섭리를 깨닫고 순종했기 때문이다.

리브가의 뱃속에서 장자권 쟁탈전이 일어났을 때 하나님께서는 “큰 자가 어린 자를 섬길 것”이라고 말씀하셨다(창25:22). 이삭은 리브가를 통해 그 사실을 알고 있었으나 잊고 살았고 큰 자인 ‘에서’를 더 사랑하고 있었다(창25:28). 하지만 자신이 에서가 아닌 야곱을 축복한 것이 하나님의 주권섭리라는 사실을 깨닫고 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버리고 ‘롬마서 9:10-13’에서는 하나님께서 리브가에게 “내가 야곱은 사랑하고 에서는 미워하였다”고 증거하고 있는 것을 볼 때 하나님께서 사랑하는 신령한 장자를 축복한 것이 뜻인 줄 알고 다시 한 번 믿음으로 순종하여 야곱에게 다시 축복 하였다(창28:3-4). 진정한 순종은 자기가 사랑하는 것을 내려놓고 하나님께서 사랑하는 것을 선택하여 그 말씀대로 순종하는 것이다.


결론 : 신령한 이삭의 선택이 우리의 선택이 되어야 한다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는 장자의 축복을 이미 받은 존재들임과 동시에 이 장자의 축복을 또 다른 사람들에게 믿음으로 승계해야하는 사명이 있다(벧전2:9-10).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이 사랑하는 것을 과감히 버리고 하나님께서 사랑하는 그 모든 것들을 믿으며 순종함으로 반드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허락하신 귀한 구속사의 말씀을 믿음으로 전수시키는 일을 완수하는 이삭 같은 사람이 되어야 한다. 하나님의 뜻은 변함이 없으시다(민23:1, 롬11:29, 히6:8). 그 뜻을 따르는 청년들이 되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ㅡ 그루터기紙 1808호

김영수 목사

조회수 12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