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오벧에돔과 온 집이 복을 받은 원인 (삼하6:1-11,대상13:1-14)

블레셋에게 빼앗긴 법궤가 이스라엘로 돌아온 이후, 먼저 아비나답의 집으로 법궤를 모시게 된다. 그 이후 다윗이 법궤를 다윗성으로 옮기는 과정 중에 아비나답의 아들(실제로는 손자로 볼 수 있음) 웃사가 하나님과 충돌하여 죽는 사건이 벌어진다. 그 충돌 사건 이후 법궤는 오벧에돔의 집에 3개월 동안 모셔지게 된다. 오랜 기간 법궤를 모신 아비나답의 집이 아닌, 비교적 짧은 3개월 동안 법궤를 모신 오벧에돔의 온 집과 그 모든 소유에 하나님의 큰 복이 임했다고 성경은 기록하고 있다.


1. 아비나답의 집 ⟶ 99년 6개월 동안 법궤를 모신 가정 (삼상7:1-2)


1) 주전 1102년 블레셋에게 법궤를 빼앗김, 블레셋 지경에 7개월 법궤가 머뭄(삼상6:1)

2) 아비나답의 집에 20여년 동안 머물렀다고 기록하고 있음(삼상7:2)

3) 주전 1082년 미스바 전투 ~ 주전 1050년 사울 즉위 ⟶ 32년

4) 사울 통치 ⟶ 40년 (행13:21)

5) 다윗 헤브론 통치 ⟶ 7년 6개월 (삼하5:5)

6) 다윗성으로 법궤를 모시기 위해, 아비나답의 집에서 법궤를 가지고 나옴(삼하6:4)

20년 + 32년 + 40년 + 7년 6개월 = 99년 6개월


기럇여아림 사람들이 법궤를 아비나답의 집으로 모실 정도로 인정받은 믿음의 가정이었고, 법궤가 들어온 날 아들 엘리아살을 거룩하게 구별해서 법궤를 지키게 했다. 하지만 100여년이 지난 시점에서 아비나답의 가문에 웃사가 하나님과 충돌하는 사건이 있었던 것이다. 세월이 지나면서 하나님을 섬기는 마음과 자세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2. 오벧에돔의 집 ⟶ 3개월 동안 법궤를 모신 가정(삼하6:11)


대상13:13-14절에 오벧에돔과 그 모든 소유에 복을 내리셨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복을 받은 원인은 무엇인가? 오벧의 뜻은 ‘섬기다’라는 뜻으로 노예나 종이라는 명사와 관계가 되는 단어이다. 오벧에돔과 그 온 집이 하나님을 정성껏 섬기는, 예배드리는 가정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대상15:18 .. 문지기가 오벧에돔 / 대상15:24 ..오벧에돔..궤 앞에서 문을 지키는 자다윗이 다스리던 시대에 오벧에돔의 자손 62명이 문지기로 하나님을 섬긴 가문이었고, 더 나아가 아마샤 왕 때까지 그 자손들이 성전에서 봉사하였음을 말씀하고 있다(대상26:8,대하25:24). 세상이 볼 때 비록 미미한 문지기였지만, (사실 문지기는 성전 안에 부정한 것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지키는 힘과 특별한 지혜를 소유한 자가 할 수 있는 직무이다) 그 이름의 뜻처럼 섬기는 종의 자세로 법궤를 귀중하게 모시고, 마음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 앞에 예배드린 충성된 가문이었던 것이다.



결 론: 법궤가 ‘치우쳐’ 오벧에돔의 집으로 들어갔다(대상13:13). ‘치우쳐’는 히브리어 ‘나타’인데 ‘기울다, 뻗다’ 라는 뜻이다. 법궤가 충성된 문지기 오벧에돔의 집으로 방향을 정했다는 것이다. 우리도 교회에서 변함없이 충성하고,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해 하나님을 섬기고 예배드림으로, 눅19:9-10절 말씀과 같이 예수님이 여리고에 수많은 사람중에 삭개오의 집으로 들어가심으로 삭개오가 ‘구원’이라는 영원한 복을 받았듯이, 하나님이 주시는 영육간에 부요한 축복, 구원의 축복을 받는 가정들 모두 되시기를 바랍니다.



ㅡ 그루터기紙 1824호

유근영 전도사

조회수 504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