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오늘 우리의 예배는? _ 창 15:9-10

하나님께서는 아브라함에게 ‘이 땅을 네게 주어 업을 삼게 하려고 갈대아 우르에서 너를 인도하여’ 냈다고 하시면서, 아브라함에게 처음 주신 언약과 사명을 기억하게 하셨다(창 15:7). 그런데 이때 아브라함은 뜻밖에도 “주 여호와여 내가 이 땅으로 업을 삼을 줄을 무엇으로 알리이까”라고 언약의 증표를 요구하였다(창 15:8). 이 요구 앞에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주신 명령이 ‘제물(예배)을 드리라’는 것이다.

1. 제물을 드리라(제물을 가지고 오라) 명령하신 이유

(1) 제물은 죄를 대속하기 위한 것이다(참고-히 9:13, 22).

(2) 언약에 대한 증표를 요구한 것은, 명백한 불신이다.

(3) 아브라함의 불신의 문제를 제하여 주시기 위해 제물을 요구하셨다.


2. 제물의 준비

(1) 3년 된 제물 : 3년 된 암소, 3년 된 암염소, 3년 된 숫양 등

‘희생 제물의 완전함’ : 짐승이 태어난 지 3년이 되었다는 것은 다시 새끼를 가질 수 있는 성숙하고 완전하고 아름다운 한 개체가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브라함 자신을 상징한다(롬 12:1). 희생 제물의 완전함같이 아브라함 자신이 완전한 자가 되어 드려져야 한다.

③ 이 땅에 오셔서 3년 동안 공생애(눅 3:23)를 통하여 구속사를 온전히 이루시고 십자가에서 제물이 되실 예수 그리스도를 상징한다(요 19:30/요 1:29, 고전 5:7).


(2) 제물을 쪼개라(참고-레 5:7-8) ① 제물의 중간을 쪼개는 것은 언약 체결 의식이다(렘 34:18-21).

② 아브라함 자신이 제물이 되어 내 속의 불신과 선과 악을 쪼개야 한다.

③ 이때 “타는 횃불(하나님의 임재, 사 62:1)이 쪼갠 고기 사이로 지나”(창 15:17)갔다. 이는 아브라함의 불신에도 불구하고 하나님 스스로 언약의 신실성을 확증해 주신 것(반드시 성취될 언약)이다.


3. 오늘 우리의 예배는 어떻게 드려야 하는가? 우리 자신이 온전히 십자가에 못 박혀 산 제물로 드려지는 인격적인 예배를 드려야 한다(엡 5:2, 빌 2:17, 4:18, 딤후 4:6).

(1) 육신의 소욕이 죽는 예배(갈 2:20, 5:24, 골 3:5, 고전 15:31)

: 금지된 것에 대한 욕망과 정욕과 갈망을 끊어야 한다.


(2) 인간의 마음이 죽는 예배(시 34:18, 51:17, 147:3, 사 57:15)

: 하나님은 우리의 상한 심령(회개)을 보시고 우리의 마음을 위로해 주신다.


결론 : 형식적인 예배가 아닌 하나님께서 인정하시는 진정한 예배를 드리자.

아벨은 ① 믿음과(믿음으로) ② 정성과(더 나은 제사, 첫것) ③ 경외하는 마음과(의로운 자로 인정) ④ 의로운 행위로 제사를 드림으로 하나님께 인정받는 예배를 드렸다(히 11:4). 그러나 가인은 악한 자에게 속했고, 세상에 마음을 두었다(요일 3:8, 12). 오늘 우리의 예배는 진정 내 속의 선과 악, 불신의 요소들이 쪼개지고 성숙한 신앙인의 모습으로 오직 아버지만을 앙망하며 드려지는 예배인가?



오인정 전도사

2021년 08월 22일 정기집회

조회수 3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