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오늘 여기 살아있는 우리 곧 우리 (신 5:2-3)

최종 수정일: 2019년 8월 20일

하나님은 출애굽 한 이스라엘 백성을 ‘하나님의 산’ 시내산(출 3:1)으로 인도하시고, ‘하나님의 사람’ 모세(신 33:1)를 중보자로 하여 십계명과 여러 율례를 주시면서 언약을 맺었다(출 24:1-8). 이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을 공식적인 ‘언약 백성’으로 삼는 매우 중요한 언약이며,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위한 준비였다.



1. 시내산 언약


(1) 나라를 대상으로 한 언약(출 19:3, 언약의 대상 확대)


(2) 하나님께서 불 가운데서 전 백성에게 직접 선포하신 언약(출 20:1-19)


(3) 기록으로 구체화된 최초의 언약(출 31:8, 32:16, 34:1, 28)


(4) 언약의 땅에서 지킬 실천적 언약(가나안-세상의 중앙에서(겔 38:12) 언약 백성으로서의 사명)


(5) 피로 맺은 언약 : 모세는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이 하나의 공동체로 연합되기 위해 번제와 화목제 희생의 피를 취하여 단과 백성에게 뿌렸고(출 24:5-6), 그 피를 언약서에도 뿌렸다(히 9:19-20).


(6) 중보자가 있는 언약이며(출 19:9, 20:18-21, 신 5:5, 23-27, 31), 이 언약은 예수그리스도의 새 언약을 바라보게 한다. 그러나 이스라엘 백성은 시내산 언약을 체결하고 언약을 지키겠다고 다짐했지만, 하나님의 말씀에 불순종하고 원망한 결과 약 38년 동안 광야에서 유리하게 되었다.



2. 모압 평지 언약


(1) 대대에 지킬 만대의 언약 : 시내산 언약은, 이스라엘 백성이 11번째 진쳤던 시내광야에 도착하여, 하나님과 이스라엘 사이에 맺은 언약이다. 이 언약은 38년 광야 방랑 마지막 지점에서 가나안 입성을 앞두고 41번째로 진을 쳤던 모압 평지에서 광야 2세대들을 대상으로 재확증 되었다(모압 평지 언약).


(2) 언약 체결 대상(신 5:2-3) ① 언약의 시제와 장소 : “오늘날 여기 살이 있는 우리 곧 우리” - ‘여기, 현재’ ⓶ 언약의 대상 : ‘살아 있는 우리뿐만 아니라 여기 있지 않은 자에게까지’(신 29:14-15). 그러므로 언약은 과거에 묶여 죽은 언약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생명을 불어넣어 주는 살아 있는 언약이다.


(3) 계속적으로 확증되어야 할 언약 : 모압평지에서 시내산 언약을 갱신하면서 언약의 대상을 확대하고 있는 것은, 시내산 언약이 그 실체인 ‘새 언약’으로 갱신되어 ‘전 우주적’인 언약으로 확대될 것을 보여주며, 시공간을 초월하여 오늘, 여기 있는 우리도 믿음 안에서 시내산 언약을 계숭하여 우리 삶 속에서 영원한 언약으로 계속 확증해 가야 한다.



결론 : 지금 여기 살아 있는 우리가 언약의 계승자이다. 언약의 계승자로서 말씀에 대한 모호한 태도가 아니라, 말씀을 배우고 확신하는 일에 거해야 하며(딤후 3:14). 철저히 하나님께 ‘부종, 친근(다바크=매달리다, 집착하다, 굳게 결합하다, 신 10:20, 30:20, 수 22:5, 23:8)’히 하는 생활을 해야 한다. 그래야 죄악 세상을 이기고 마침내 우리를 통해 구속사의 완성을 이룰 수 있다.



ㅡ 그루터기紙 1857호

오인정 전도사

조회수 11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