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언약궤를 모시기 위한 준비-시온성 점령과 의미 (삼하 5:6-10)

주전 1003년 다윗이 온 이스라엘의 왕이 되고서 제일 먼저 한 일이 언약궤를 모시는 일이었고, 언약궤를 모실 장소를 준비했는데 그곳이 ‘시온’이다. 다윗은 왜 언약궤를 모시기 위해 시온을 정복했고, 시온이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무엇인가?



1. 시온성 정복과 시온의 영역 확대


시온은 지중해에서 동쪽으로 53km, 사해에서 서쪽으로 23km 지점에 있으며, 가나안 중앙에 있다. 가나안은 세상 중앙의 땅(겔 38:12)이므로, 시온은 전 세계의 중앙이다.멜기세덱 왕이 통치했던 ‘살렘’을 가리키며(시 76:2),예루살렘과 같다.


(1) 여부스 족속의 본거지로(수 15:63, 삿 1:21, 19:10, 대상 11:4-5), ‘여부스는 곧 예루살렘’라 불렸고, ‘티로포에온 골짜기’와 ‘기드론 골짜기’의 합류 지점에 있으므로, 난공불락의 천혜의 요새였기에, 약 400년간 미정복 지역으로 남아 있었다.


(2) 시온성을 정복한 다윗: 다윗은 유일한 통로인 수구(水口)를 통해 올라가서 여부스 족속을 내쫓고, 시온성을 빼앗았다(삼하 5:8, 대상 11:5). 그곳을 ‘다윗성’이라 부르고, 언약궤를 모셨고(삼하 5:5-10), 종교적, 정치적 중심지가 되었다.


(3) 솔로몬 시대의 시온: 주전 595년 솔로몬 성전이 세워지고 언약궤를 옮김으로 성막과 언약궤가 다시 한 곳에 합쳐졌다(왕상 8:1-21). 그리고 다윗성이 위치한 곳에서부터 성전이 세워진 북쪽까지시온의 영역이 확대되었다.



2. “시온” 의미의 점진적 발전


하나님께서 임재하시는 거룩한 곳(시 2:6, 사 60:14), 하나님의 백성이 영원히 거할 요동하지 않는 산성(시 125:1-2, 욜 3:16), 세계 만민에게 구원을 베풀 하나님의 기초(시 87:1-3), 종말적 하나님의 도성(사 59:20, 롬 11:26, 계 14:1)이다.



3. 시온성 점령의 구속사적 의미


(1) 다윗이 왕위에 오른 직후 시온성을 탈환하고 언약궤를 모신 사건은, 예수님께서 십자가와 부활로 승리하여 하늘에 오르시고 자기 보좌에 앉으사, 자기 백성을 저희 죄에서 구원하실 구속 사건을 예표한다(시 68:18, 엡 4:8).


(2) 시온은 ‘장자의 총회’를 가리킨다.시온은 하나님의 영원한 거처로(시 14:7, 132:13-14, 사 14:32, 암 1:2), 이곳에 선 자는 구원을 받은 ‘장자들의 총회’이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자기 피로 사서 이 땅에 세우신 교회(행 20:28)들이, 바로 하나님께서 자기 백성을 구원하시는 오늘의 시온이다.



결론 : 시온에 서 있는 자가 되자.


출애굽한 이스라엘은 시내산으로 갔고, 그곳에서 하나님을 섬기는 방법을 배웠다. 히브리서 12:18, 22절에서는 시내산을, 하나님이 거하고시고 하나님의 장자들이 서는 시온산으로 제시하여 말씀하고 있다. 따라서 애굽과 같은 세상에서 우리도 탈출하여 시온산을 향해 나아가야하며, 우리는 하나님께서 인정한 시온산에 우뚝 선 장자들의 총회이다.


ㅡ 그루터기紙 1909호

오인정 전도사

조회수 68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