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어느 때까지 두 사이에서 머뭇머뭇하려느냐_왕상 18:20-21

북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과 바알 사이에서 머뭇머뭇하며, 온전히 하나님을 좇지 않았기 때문에 엘리야 선지자는 바알 선지자들과 ‘누가 살아있는 참 신인가’를 판가름 내기 위해 갈멜산에서 대결합니다.


‘머뭇머뭇하려느냐’로 번역된 히브리어 ‘파사흐’는, ‘다리를 절다, 절뚝거린다’라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백성들의 매우 위태로운 신앙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죠.


오늘 우리의 신앙생활이 하나님과 세상 사이에서 머뭇거리고 있다면, 두 마음을 품은 것입니다. 그리고 두 마음을 품은 사람은 무엇이든지 하나님께 얻기를 생각하지 말라(약 1:7-8)고 말씀합니다.


우리 모든 그루터기가 이제는 머뭇거리는 신앙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 편에 서고, 하나님을 좇는 믿음의 청년들 되시기를 부탁드립니다.



1. 북이스라엘 백성들의 침묵(왕상 18:21)

이러한 백성들의 행동은 1) 하나님보다 아합왕을 두려워했음을 보여줍니다. 2) 이미 백성들의 마음은 바알에게로 더 기울어져 있던 것입니다.

오늘 우리도 하나님보다 세상을 두려워하고, 사람을 두려워한다면, 또 이미 우리의 마음 중심이 세상에 더 기울어져 있다면 우리 또한 침묵할 수 있습니다.

가나안 정복 전쟁 이후 여호수아가 백성들에게 신앙의 결단을 요구할 때, 결단코 하나님을 버리지 않겠다(수 24:15-16)는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 고백이 우리에게도 넘쳐나는 은혜가 있기를 바랍니다.



2. 말씀의 역사는 사람의 숫자와 상관이 없습니다.

엘리야 선지자 한 명과 바알 선지자 450명, 아세라 선지자 450명의 대결은 너무나도 불공정한 대결입니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사람이 지혜를 모으고, 힘을 모을지라도 결코 하나님을 대적할 수 없습니다.

바알 선지자들은 자신들의 몸에 상처를 내며 큰 소리로 그들의 신을 불렀지만, 아무 응답이 없고, 아무 돌아보는 자가 없었습니다.

세상은 우리를 도울 수 없습니다. 사람들은 우리를 도울 힘이 없습니다(시 146:3). 우리 성도를 지켜주시고(시 121:3-8), 도와주시는 분(사 41:10)은 오직 하나님 한 분밖에 없음을 확신하는 그루터기 여러분 되시기를 소원합니다.



결론적으로, 살아계신 하나님께서 우리의 믿고 간구하는 기도에 반드시 응답하십니다.

바알 선지자들의 제사에는 아무 응답이 없었지만, 엘리야 선지자가 기도할 때 여호와의 불이 내려 번제물과 나무와 돌, 흙까지 태우고 심지어 도랑의 물까지 핥았다(왕상 18:38)고 말씀하는 것처럼, 오늘날 우리 그루터기들의 간절한 기도에 하나님께서 응답하신다는 사실입니다.

항상 기도하고 낙망치 마시고(눅 18:1), 이제는 머뭇거리는 신앙이 아니라 하나님 편에 믿음으로 당당히 서는 우리 청년들 되시기를 간절히 기도합니다.


조현우 전도사

2021년 02월 28일 정기집회

조회수 26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