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십계명 열 말씀의 본질 _시 119:160

주의 말씀의 강령(으뜸, 머리, 시작)은 진리이다(시 119:160). 즉, 하나님의 말씀은 태초부터 진리이며, 영원히 변치 않는 것이기 때문에 마땅히 사람들은 하나님의 말씀을 의존하며 살아야 한다. 시편 119편에는 율법을 뜻하는 히브리 원어 열 개를 번갈아 사용해 하나님 말씀의 다양성을 보여주면 그리스도인이 말씀에 의지하여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를 알려주고 있다.

1. 토라 = 주의 법, 주의 율법 : 토라는 가르침, 교훈, 율법을 지칭하며, 반드시 지켜야 할 말씀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하나님의 말씀은 우리가 가야할 길을 지시하고 가르쳐 주는 하나님의 안내서이다(시 119:97).


2. 에두트, 에다 = 주의 증거, 여호와의 증거 : 주의 증거는 우둔(유혹에 쉽게 빠지고 흔들리는 사람)한 자를 지혜롭게 하므로(시 19:7) 그 말씀에 밀접(밀착)하게 살며 좇아가야 한다(시 119:31).



3. 미쉬파트) = 주의 판단, 주의 규례 : 하나님의 판단은 매우 정확하고 의로우므로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책망과 형벌이 될 때도 있다. 그러나 하나님의 책망의 은혜를 깨달으면 가장 보배로운 사람이 된다(잠 6:23, 25:12, 엡 5:13).



4. 호크 = 주의 율례 : ‘연기 중의 가죽병’(시 119:83)과 같은 온갖 고난으로 육체적, 정신적, 영적으로 바짝바짝 타들어 가는 듯한 상황일지라도 말씀에 기울이는 삶을 살 때 살길을 열어 주신다(시 119:12).



5. 다바르 = 말씀 : 칠흑 같은 어둠에 휩싸여 있을 때 발 디딜 곳을 비추어 주는 한 줄기의 빛, 환난의 연속으로 길을 잃고 헤맬 때 능히 헤쳐나갈 수 있는 결정적인 해결의 실마리가 곧 말씀이다(시 119:25, 105, 130, 147).



6. 픽쿠드 = 주의 법도(책임) :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자는 어떤 상황에서도 “근실히” 말씀을 지켜야 하는 책임이 있다(시 119:4). 그러할 때 우리를 자유롭게 행하게 하시고(45절) 일을 처리하는 명철을 주시며(110절) 항상 주의 손이 도와 주시는 축복이 있다(173절).



7. 미츠바 = 주의 계명 : 말씀을 지키며 살아갈 때 부끄러움을 당치 않게 하신다(시 119:6).



8. 데레크 = 주의 도, 주의 길(방법, 관습, 인생여정) : 우리의 인생 여정을 성공하려면 곁길, 다른 길로 가지 않도록(렘 6:16-19, 18:15, 50:6) 우리의 눈은 항상 허탄한 것을 버리고 하나님의 말씀에 주목해야 한다(시 119:37).



9. 이므라 = 주의 말씀(약속) : 때로는 그 길에 지칠 수도 있지만, 하나님은 우리에게 위로와 소망을 더하시며 우리의 행보를 말씀 앞에 굳게 세우며 인도하신다(시 119:11, 50, 133, 162).



10. 에메트, 에무나 = 진리(아멘) : 모든 상황 속에서 말씀을 즐거워하며 살아가도록 그 말씀이 내 입에서 떠나지 않기를 바라며(시 119:43), 말씀대로 순종하는 아멘의 삶이 되어야 한다.

결론 : 우리는 말씀 속에서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삶의 질서 및 법칙을 익히게 된다. 시편 119편 기자는 만족이 없고 공허한 세상에서 오직 인생이 살길은 ‘하나님의 말씀밖에 없구나’를 깨닫고 고백하는 것이다. 열 말씀이 우리의 심령과 생활의 구석구석마다 넘치도록 풍성하게 채워질 때, 그 말씀은 우리를 옭아매는 말씀이 아니라, 사람이 준행하면 그로 인하여 삶을 얻을 율례. 삶을 얻는 참된 말씀(겔 20:11)이 되는 것을 믿고 말씀대로 순종하며 따라가는 삶이 되자.


오인정 전도사

2021년 05월 23일 정기집회


조회수 5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