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소리’처럼

최종 수정일: 2021년 2월 24일

목포 생활 1주일째 접어들고 있다. 25년 목사로서, 43년 동안 신앙의 터전으로 한 번도 떠난 적 없는 평강동산. 아니 떠나리라는 생각조차 한 번도 하지 않았던 곳이다. 나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젊은 시절을 불살라 헌신한 곳이니. 이곳에 와서 가끔 “내가 왜 이런 결정을 했지?” 스스로 반문해보곤 했었다.


한 발짝 떨어져 과거 내 삶의 본거지를 살펴보니 내가 얼마나 안일하게 살아왔는지, 나 중심으로 사고하며 전체를 바라보지 못했는지 비로소 느끼며 부끄러워진다. 만약 계속해서 한곳에 머물렀다면 그야말로 ‘고인 물’이 되어 결국은 ‘썩은 물’이 될 수밖에 없었을 거라는 냉철한 비판을 하게 되었다. ‘강물처럼 흘러가라’, ‘낮은 데로 임하라’, ‘섬기는 삶을 살아라’... 남들을 향해 얼마나 많이 외치며 설교했던가. 하지만 나 자신 속에 그런 치열한 의식과 삶의 몸부림이 없이 마치 ‘울리는 꽹과리’처럼 외쳐왔음을 뼈저리게 느끼게 되었다. 그러던 중 이곳 목포에서 새벽예배 준비를 하며 다음과 같은 원로목사님의 설교 말씀과 맞닥뜨리게 되었다.


"소리는 말씀을 나타내 놓고 자기는 없어지는 거야! 세례요한은 말씀 되시는 예수님을 나타내놓고 자신은 없어지는 '소리의 위치'에 가 있었습니다. 하나님의 참된 종입니다. 말씀을 전하는 자가 '자기'가 나타나면은 말씀은 가려져. 말씀을 전하는 자가 사라지고 없어져야지, 말씀을 전해 놓고 자기를 나타내면 말씀이 없어지게 만드는 도둑놈이야!" - 2001년 3월 11일, "산은 높고 골은 깊다"(주일 2부 말씀 중에서).


이 얼마나 등골 오싹하게 하는 추상같은 말씀인가. 여기서 ‘소리’는 ‘말씀의 전달자’를 가리킨다. 우리는 모두 단지 하나님을 증거하는 말씀의 ‘소리’일 뿐이다. 소리는 한번 입 밖으로 나가게 되면 형체도 없이, 미련도 없이 사라지고 만다. 다만 듣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울림을 주고, 그들의 삶에서 결실할 열매에 자기 자리를 내어줄 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소리가 아니라 주인으로 살고자 한다. 내가 전하고 내가 주인공의 자리에 앉아 대접받고자 했던 것이다. 만남과 헤어짐이 교차하는 우리의 삶의 터전 속에서 만남이 왜 반갑지 않고 헤어짐이 왜 슬프지 않겠는가마는 그런 아픔 속에 우리는 조금씩 자신을 되돌아보며 속으로부터 단단해지는 법이다. 하나님 앞에 나라는 존재는 한 줌 먼지만도 못하고, 입 밖을 떠나는 순간 사라지는 ‘소리’처럼, 내 사명을 다하는 것으로 만족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


한곳에 오래 머물러 있을수록 사람은 필연적으로 ‘나태와 안일’이라는 짐에 눌리게 된다.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일에만 몰두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불러내시고, 끊임없이 먹을 것을 찾아 움직여야 하는 유목민을 들어서 구속사의 주역으로 세우셨던 것이다. 그들에게 나태와 정체는 곧 죽음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청년 그루터기와 함께한 2년의 시간이 있었기에 아쉬움 없이 ‘소리처럼’ 나의 사역을 마무리하고 새로운 사명을 향해 나아갈 수 있게 되어서 감사드린다. 그루터기와 함께해서 행복했고 감사했다. 어딜 가도 잊지 않고 가슴에 담아둘 사랑스러운 그대들이여!


- 홍봉준 목사

(그루터기紙 1923호)


조회수 11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이스라엘의 두령이 그를 영솔하였고 백성이 즐거이 헌신하였으니 여호와를 찬송하라“ 사사기 5장 2절 위의 구절은 사사기 4장과 5장 내용 중 일부로 리더모임 때 받은 말씀입니다. 이스라엘과 야빈의 전쟁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처럼 불리한 전쟁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사사 드보라가 앞장섰고 그로 인해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믿음으로 일어선 바락과 여인의 몸으로 적장을

전도서 3장은 ‘때’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살다 보면 언제나 좋은 때를 살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또 반대로 언제나 힘든 때만 있지는 않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 모든 일에는 그것이 이루어질 때가 있음으로 우리에게 일어나는 삶의 모든 순간들은 하나님의 경륜 속에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제게 이 말씀은 힘든 때를

젊은 세대를 초월하여 전 세대를 아울러 MBTI는 크게 유행했고, 이미 우리의 삶 속에 정착하여 회사, 가족, 친구, 더 나아가서 처음 보는 사람에게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MBTI가 어떻게 되세요?”하며 질문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질문에는 “대담한 통솔자”, “정의로운 사회운동가”, “용감한 수호자”와 같은 수식어를 더해 본인이 어떤 사람에 해당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