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새 힘으로 얻는 구속사의 회복_사40:31. 시51:12

오늘 본문은 하나님을 앙망하는 자에게 주시는 새 힘이 있음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사40:31]이 말씀하는 새 힘은 어떠한 모습입니까?


1) 독수리의 날개 치며 올라가는 새 힘입니다. 이 힘으로 어떤 어려움에 있더라도 능히 극복하는 힘과 능력, 지혜와 궁량을 하나님이 허락하십니다.


2) 달음질, 걸음질 해도 피곤치 않는 새 힘입니다. 이것으로 하나님은 어떤 일을 하든지 지치지 않는 은혜, 끝까지 나아갈 수 있는 은혜를 허락하십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새 힘을 주셔서 하나님께서 이루는 일이 무엇입니까? 바로, 구속사 회복의 역사입니다. 성경에 기록된 구속사의 회복은 어떤 모습이었습니까?


1. 창세기 4장 예배를 통한 구속사의 회복입니다.

아담과 하와의 타락 후 타락한 사람에게 하나님의 제사(예배)를 드리는 것을 가르쳐주셨습니다. 그래서, 창세기 4장에 가서는 제사 드림을 기록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구속사의 회복의 방법이 제사(예배)임을 그들에게 알려주셨던 것입니다.(창4:2-3)

그러므로, 우리도 2021년 예배로 모든 것이 회복될 수 있습니다.


2. 출애굽을 통한 구속사 회복의 역사입니다.

출애굽의 역사는 애굽의 400년간의 고통 중에 있는 이스라엘의 기도를 들으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출3:7) 그 역사를 [출19:4]에서는 독수리 날개로 업어 나르셨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구속사의 회복은 하나님이 먼저 기억하실 때이빈다. 더 나아가 하나님 앞에 간절한으로 나갈 때 출애굽과 같이 우리도 우리의 힘으로 도저히 할 수 없지만, 독수리의 날개로 우리를 업어 나르시는 역사가 있습니다.


3. 바벨론 포로 70녕, 귀환을 통한 구속사의 회복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바벨온에서 반드시 회복될 것은 말씀하시면서 독수리를 보내주신다고 말씀하셨습니다.(사46:11) 이것은 일차적으로 바사 고레스왕(스1:1)이며, 궁극적으로는 예수 그리도를 말씀합니다. 그런데, 회복의 역사는 하나님의 정하신 떄에 이루어졌습니다. 우리가 다 알지 못하지만, 하나미이 정하신 때에 점진적으로 역사합니다. 비록 더딜지라도 하나님은 반드시 회복케 하시빈다.(합2:3) 그런 것처럼, 코로나19의 질병도 하나님이 극복하게 하실 것입니다.


결론. 새 힘을 통해 회복의 역사가 성취됩니다.

에스겔 47장 성전에서 흘러나온 물이 생수의 강이 되어 살리는 역사를 합니다. 이 말씀은 마지막 때 이루어질 말씀입니다. 이것은 [창2:10-14]에 엔덴동산에서 발원한 네 강이 에덴을 적시고 전 세계로 흘러가는 것을 기억케 합니다. 다시 말해서, 새 힘(새 말씀)은 회복의 역사를 이룬다는 것을 알려주십니다. 오늘도 우리에게 구속사의 새 말씀으로 회복의 역사가 있다는 믿고 승리하는 그루터기 되길 바랍니다.


김나다나엘 목사

2021년 01월 10일 정기집회




































조회수 14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