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므비보셋’ 이름의 뜻은 ‘부끄럼, 추방자’ 이다. 사무엘하 9:13을 보면 양발이 절뚝발이인 비참한 인생을 사는 사람이었다. 걸을 수도 없고 자기 맘대로 나귀도 탈 수 없었다.
그런데 압살롬이 반역을 일으켜 다윗이 도망을 갈 때. 시바가 나타나 자기 주인 므비보셋을 모함했다. 화가 난 다윗은 므비보셋 재산을 다 빼앗아 시바에게 주었다. 므비보셋 입장에서는 어떻게 종 시바의 말만 듣고 내 재산을 다 뺏을 수가 있느냐 원망하고 불평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놀랍게도 므비보셋은 절대 다윗을 원망하지 않고 끝까지 변함없이 순종했다.
1. 므비보셋은 끝까지 다윗의 고난에 동참했다
모함 받아 재산을 다 빼앗긴 므비보셋은 다윗을 원망하지 않았다. 오늘날 우리가 예수님 믿고 신앙생활 하다가 취직도 안 돼 진학도 안 돼 하는 일마다 안 되면 나도 모르게 원망한다. 그런데 므비보셋은 한마디도 원망하지 않았다. 다윗이 압살롬에 쫓겨 도망치는 그 날부터 수염도 깎지 않고 옷도 갈아입지 않고 양말도 갈아 신지 않았다(삼하 19:24).
므비보셋은 나를 왕의 밥상에서 밥 먹기를 허락해주셨는데 내가 재산을 뺏겼다고 왕을 배신할 수 있느냐. 왕이 평안히 돌아오시기만 하면 좋겠다. 이런 마음으로 다윗의 고난에 동참했다. 오늘날 우리도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하는 청년이 되어야 한다(벧전 2:21, 계 17:14,19:16). 내가 교회의 고난에 동참하는 것이 곧 예수님의 고난에 동참하는 것이다(골 1:18, 24 엡 1:22, 23). 교회에서 여러 가지 봉사를 하고 일을 하면서 너무나 힘이 들고 포기하고 싶을 때도 있지만 그럴수록 불평하지 않고 원망하지 않고 더 감사할 때 변함없는 충성자가 되는 것이다(고전 15:58).
2. 므비보셋은 모든 결정을 다윗에게 맡겼다
므비보셋은 다윗을 왕으로 인정하고 자기가 결정하지 않았다. 다윗은 시바의 말만 듣고 므비보셋이 자신을 배반하고 모반을 일으키려 했다 생각했다. 그 때 므비보셋은 ‘내 주 왕이여 왕의 종 나는 절뚝발이이므로 내 나귀에 안장을 지워 타고 왕과 함께 가려 하였더니 나의 종이 나를 속이고 종 나를 내 주 왕께 참소하였나이다.’고 모함했다 말했다(삼하 19:26-27).
잠 12:19 진실한 입술은 영원히 보존되거니와 거짓된 혀는 눈 깜짝할 동안만 있을 뿐이니라
진실이 밝혀졌을 때 므비보셋은 모든 결정을 다윗에게 맡겼다. 자신을 죽은 개와 같은 존재로 생각했기 때문에 다윗에게 아무 것도 요구하지 않았다(삼하 9:3, 19:28).
3. 므비보셋은 다윗의 결정에 진심으로 순종했다
다윗은 재산을 반반씩 나눠서 반만 므비보셋에게 주고 반은 그대로 시바가 가지도록 명령했다(삼하 19:29).
왜 다윗은 재산을 반반 나누라고 했을까? 다윗은 왕위에 다시 돌아왔지만 아직 불안한 상태이다. 그런데 시바 재산을 다 뺏으면 시바가 다시 배반을 일으킬 것 같았다. 나라의 평안을 위해 결정한 것이다. 사람들이 보기엔 불공평 하지만 우리는 다윗의 고충을 알아야 한다. 어떻게든 회개시켜 붙들어서 같이 가야한다. 우리가 생각할 때 공의롭지 않아도 평화를 위해서는 용서하고 같이 갈 수밖에 없는 상황도 있다.
므비보셋은 그 다윗의 마음을 헤아렸다. ‘왕이 평안히 궁에 돌아온 것만도 감사한데 내가 뭘 더 요구하겠습니까. 반만 주지 마시고 전부를 시바에게 주십시오.’ 라고 얘기했다. 므비보셋은 내 입장보다 왕인 다윗의 입장을 생각했다. 나도 내 입장보다 하나님 말씀을 예수님의 입장을 생각해야 한다(삼하 19:30).
결 론: 므비보셋의 변함없는 충성을 통하여 자식들이 복을 받았다.
하나님 앞에 변함없이 충성할 때 그 가문에 복을 주신다. 일한만큼 하나님이 여러분 삶에 반드시 복을 주신다(시 101:6, 잠 28:20). 환난 속에서도 끝까지 충성하면 생명의 면류관을 주신다(계 2:10, 11). 우리 청년들이 이해가 안 될지라도 하나님이 나한테 말 못할 사정이 있나보다 생각하고 끝까지 충성하면 가문이 잘되고 자식들이 복을 받고 우리 앞길이 환하게 열릴 줄 믿습니다.
ㅡ 그루터기紙 1840호
이승현 담임목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