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맥추절의 의미 (출23:18-24)

최종 수정일: 2018년 9월 25일

서 론 :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성민이었다. 구속사를 이어나갈 민족이다. 그런 그들에게 하나님은 특별히 매년 세 번의 절기 지키는 일에 집중하도록 하셨다(대하8:13).


1) 무교절 (출13:6-10)

❶유월절 다음 날부터 칠일동안(출13:6, 레23:15-16)

❷누룩을 넣지 않은 떡을 먹고(출13:7, 18:18, 고전 5:8).

❸초 태생을 제물로 드려라(출13:12-16).


2) 수장절/장막절/초막절(출23:16, 34:22, 레23:34, 신16:13, 16, 에3:4, 슥14:16, 요7:2)

❶가을 추수에 대한 감사(신16:13)

❷종말의 때에 추수(렘51:33, 눅3:17)

❸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기념(출12:14).


3)맥추절/초실절/오순절(출23:16, 34:22, 행2:1, 20:16, 고전16:8)



본 론 : 그렇다면 맥추절의 의미와 교훈은 무엇인가?


1. 맥추절의 유래(由來)

1)구약에 등장하는 맥추절은 모세의 명령을 좆아 정한 절기이다(대하8:13).

2)민족의 단합을 이루는 절기이다(신12:12).


2. 맥추절의 명칭과 규례(規例)1)칠칠절: 여호와 앞에 칠칠절(7일×7주=49일)로 드려라(신16:10).2)초실절: 처음 익은 열매의 첫 것을 드려라(츨23:19).3)오순절: 유월절 후 50일째 되는 날이다(레23:15-16).

❶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에서 해방되어 광야 생활을 하는 동안 불과 구름기둥으로 인도하사 그 백성들을 가나안 땅에 정착할 수 있도록 해주셨다. 어려운 가운데 가나안 땅에 정착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호와의 은혜에 감사하여 맥추절, 곧 수확의 감사제를 올렸다. 그 감사제의 풍성한 은혜가 신약의 성령강림절과 연결 지어졌다. 즉 유월절로부터 일곱 번의 안식일이 지난 후인 오순절날 성령이 임하신 것입니다(행2:1-4, 38-39).

❷ 신약에서의 맥추절은 원칙적으로는 예수그리스도를 가리킨다. 이유는 죽은 자 가운데서 다시 살아 잠자는 자들의 첫 열매가 되셨기 때문이다(고전15:20). 또한 오순절에 드려지는 새 요제를 살펴보면 고운가루 에바 십분 이로 만든 두 개의 떡을 가져다가 흔든다(레23:17). 이 두 개의 떡은 유대인과 이방인으로 구성된 신약교회를 상징하고 있으며 이들은 성령의 처음 익은 열매를 받은 자들로 온전한 구속을 기다리는 양자들을 상징하기도 한다(롬8:23). 더 나아가 예수그리스도의 피로 구속받은 정결한 성도들의 육체적인 헌신과 봉사를 의미한다(시110:3).



결 론 : 맥추절의 제사는 요제(레23:17)와 소제를 포도주의 전제(레23:13)와 속죄제와 화목제이다(레23:19). ‘흔들 기’도 하고 ‘향기로운 냄새’가 되게 하고 ‘수 염소 하나로 속죄제’를 ‘일 년 된 어린 수양 둘을 화목제’ 희생으로 드린다. 이것은 하나님의 은혜의 역사를 기념(출12:14)하고 첫 열매에 감사(출23:16)하여 예배드리는 행위이다. 결국 지금도 하나님께서 우리의 삶에 간섭하시고 역사하시며 주관하신다는 것을 인정하는 신앙인들은 성회로 모여 노동을 하지 않고(민28:26)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와 영광을 감사하며 찬양하는 거룩한 산제사를 드리는 것이다(롬12:1). 사랑하는 그루터기 여러분 맥추절의 의미를 마음에 잘 새겨 순간의 절기 때만이 아니라(갈4:9) 우리의 삶에 허락하신 모든 첫 것을 찾아 하나님께 감사로 제사 드리며 헌신하며 봉사하는 믿음의 사람들 다 되시기를 주님의 이름으로 축원한다.


ㅡ 그루터기紙 1812호

김영수 목사


조회수 19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