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말씀 안에서만 느낄 수 있는 진정한 행복

교회 생활을 하면서 주변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들은 말 중 하나가 “매번 자리 지키는 것 보면 대단한 것 같아.”라는 말이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뿌듯함과 감사함보다는 부끄러움과 부담스러운 마음이 먼저 들었습니다.


저 또한 예전에는 다음날 출근을 해야 한다는 핑계나 ‘일주일 동안 쉼 없이 일을 해왔으니 하루 정도는 쉬어도 되겠지’라는 인간적인 생각들로 토요예배나 3부, 4부 예배를 빠진 적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럴 때마다 제 주중의 삶은 매번 엉망이 되었습니다. 문제없이 잘 진행되던 일에 갑자기 사고가 터지거나, 아무 일도 없는데 마음에 알 수 없는 불안함이 생겼습니다. 그럴 때마다 주중에 교회에 가서 기도하거나, 성경 혹은 구속사를 읽어야만 마음에 평안함이 다시 허락되었습니다.

저는 그게 너무 약이 올라 ‘아버지! 어쩜 그렇게 제 기도에 대한 응답은 느리시면서 말씀 자리를 안 지킨 것에 대한 피드백만 그렇게 빠르세요? 남들은 2부 예배만 나오고도 세상에서도 잘만 사는데 저한테만 왜 그러세요?’라며 겁 없는 기도도 자주 했었습니다. 그러다가 또 마음이 불안해지면 다시 아버지를 찾으며 ‘아버지, 잘못했어요. 다시는 예배 빠지지 않을 테니 다시 평안함을 허락해주세요.’라는 기도를 했었습니다. 대들다가, 용서를 구하다가를 반복하는 저를 보며 아버지는 얼마나 황당하고 어이없으셨을까요? 그렇게 저의 첫 시작은 부끄럽게도 그저 ‘나의 일주일의 평안’을 위한 것이었습니다.


그러던 중, 4부가 청년연합 예배로 바뀌면서 4부까지 계속 드려야 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저는 ‘아버지, 제가 1년 동안 빠짐없이 4부까지 나올 테니, 제가 세상에서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게 해주세요.’라는 일방적인 제안을 했습니다. 마치 내가 예배를 드리는 것이 아버지께 선심 쓰는 것처럼 거만을 떨었습니다.


그렇게 또다시 저 혼자만의 일방적인 약속을 하고, 그것을 지키기 위해 매주 4부 예배까지 자리를 지키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1년, 그리고 2년이란 시간이 지났고, 당연히 드라마틱한 일은 제게 일어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버지는 말씀 안에서의 체험을 선물로 주셨습니다. 19년 9월, 여느 때와 같이 4부를 드리던 중, 말씀을 듣는데 알 수 없는 벅찬 마음과 생전 처음 느껴보는 설렘의 기분과 행복함을 느꼈습니다. 제가 느끼는 감정을 채 돌아보기도 전에 저도 모르게 밑도 끝도 없이 ‘아버지 감사합니다.’라는 기도가 터져 나왔고, 그 후에는 눈물이 터져 나왔습니다. 이런 감정이 처음이었기에 매우 당황스러우면서도 ‘아, 말씀을 들을 때 진정으로 행복하다는 게 이런 거구나.’라는 기쁜 마음이 한데 뒤엉켰습니다. 말씀 안에서 진정으로 기쁜 마음을 경험한 뒤로, 말씀을 대하는 마음가짐들이 많이 바뀌었고, 더욱 온전히 바뀌기 위해 여전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더는 아버지를 어이없게 만드는 요구나 거만함이 아닌 다시 한번 그 행복함을 느끼기 위해 매 예배에 나아옵니다.

사랑하는 그루터기 여러분, 우리가 각자의 예배 자리를 지킬 때, 하나님 아버지께서 오직 말씀 안에서만 느낄 수 있는 행복함을 선물로 주실 줄 믿습니다. 우리가 더욱더 기도에 힘쓸 때, 그 행복함을 나만 느끼는 것이 아닌 현재 나오지 않는 그루터기들, 더 나아가 믿지 않는 주변 이들까지 말씀의 빛으로 달려 나오게 하는 역사가 있기를 오늘도 간절히 기도하겠습니다.


- 50대 회계 황명신 그루터기

(그루터기紙 1920호)

조회수 7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이스라엘의 두령이 그를 영솔하였고 백성이 즐거이 헌신하였으니 여호와를 찬송하라“ 사사기 5장 2절 위의 구절은 사사기 4장과 5장 내용 중 일부로 리더모임 때 받은 말씀입니다. 이스라엘과 야빈의 전쟁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처럼 불리한 전쟁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사사 드보라가 앞장섰고 그로 인해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믿음으로 일어선 바락과 여인의 몸으로 적장을

전도서 3장은 ‘때’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살다 보면 언제나 좋은 때를 살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또 반대로 언제나 힘든 때만 있지는 않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 모든 일에는 그것이 이루어질 때가 있음으로 우리에게 일어나는 삶의 모든 순간들은 하나님의 경륜 속에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제게 이 말씀은 힘든 때를

젊은 세대를 초월하여 전 세대를 아울러 MBTI는 크게 유행했고, 이미 우리의 삶 속에 정착하여 회사, 가족, 친구, 더 나아가서 처음 보는 사람에게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MBTI가 어떻게 되세요?”하며 질문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질문에는 “대담한 통솔자”, “정의로운 사회운동가”, “용감한 수호자”와 같은 수식어를 더해 본인이 어떤 사람에 해당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