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동서남북을 바라보라 (창 13:14-17)

인생은 늘 선택의 기로에 서 있습니다. 어떤 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미래의 삶이 완전히 좌우됩니다. 롯은 요단 동편 들을 선택하여 소돔에 정착하였지만, 아브라함은 하나님께서 ‘동서남북을 바라보라’는 말씀을 듣고 순종함으로 형통의 길을 걷게 되었습니다. 본문에 나타난 하나님의 명령의 의미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동서남북을 ‘바라보라’.


동서남북을 바라보라는 것은 사방을 다 살피라는 뜻입니다. 롯은 ‘동쪽’을 선택하여 갔습니다. 어느 한쪽을 선택하는 순간, 나머지 세 방향은 버려진 땅입니다. 이런 경우는 대부분 자신의 욕망에 이끌려 선택하는 경우입니다. 반면에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동서남북, 사방을 다 살피도록 권면하셨습니다. 그 결과 아브라함의 가슴 속에 새로운 가능성과 비전을 불어넣어 주신 것입니다. 이는 동서남북을 바라보고 ‘보이는 땅’을 주겠다고 하신 말씀에서 알 수 있습니다. 그전에 보이지 않던 땅, 그 전에 눈에 들어오지 않던 새로운 길이 아브라함의 눈에 들어오게 된 것입니다.

또한, 동서남북 사방을 바라본다는 것은 자신의 삶을 돌이켜보고 회고하는 가운데, 과거와 같은 실패와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미래를 향해 나아갈 수 있게 하는 방법입니다. 자신의 부족한 점, 연약한 부분을 살펴서 보완하고 상대의 시선으로 자신을 객관적으로 살필 때 발전하게 됩니다.



2. ‘일어나라’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하신 두 번째 명령은 ‘일어나라’는 말씀입니다. 동서남북 사방을 살피고, 그중에서 가장 최선의 길을 선택하고 결정하게 되면 그 다음에는 일어서야 합니다. 주저앉아서 아무리 많은 생각과 비전을 논한들 무슨 열매를 맺을 수 있습니까? 일어선다는 것은 결단과 실행을 의미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머리로 생각은 많고 입으로 하는 말은 많지만 일어서는 실천과 결단이 없어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입니다. 출발 전, 돌다리를 두드리는 심정으로 주도면밀하게 살피고 궁구(窮究-사리를 속속들이 깊이 연구함)하되, 결정이 되었으면 주저하지 말고 일어서서 앞을 향해 전진해야 합니다.



3. 종과 횡으로 ‘걸어가라’.


끝으로 하나님은 아브라함에게 그 땅을 ‘종과 횡으로 행하여 보라’고 명령하였습니다. 여기서 ‘행하여 보라’는 ‘걸어가라’는 뜻입니다. 처음에는 눈에 보이는 땅을 주겠다고 하신 하나님께서 이제는 직접 걸어가서 밟는 땅을 주겠다고 하셨습니다. 이것이 하나님의 원리입니다. 눈으로 보고 가슴에 담는 비전이 중요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내 소유로 삼을 수 없습니다. 일어나서 직접 내 발로 걷고, 그 땅을 밟을 때 내 것이 됩니다. 이러한 노력과 땀 흘림이 없이는 하나님의 역사가 결코 이루어질 수 없습니다. 수많은 주의 종들의 이런 노력과 땀 흘림이 하나님의 구속역사를 전진시키는 원동력이요 힘이 되었습니다.



결 론 : 그루터기 여러분들의 처한 위치에서 동서남북을 바라보시기 바랍니다. 하나님께서 열어주시고 인도해주시는 새길을 발견하고, 일어나서 여러분의 발로 밟아 하나님의 축복을 여러분의 기업으로 움켜쥐시기 바랍니다.



ㅡ 그루터기紙 1858호

홍봉준 목사

조회수 135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