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자! _ 요 15:1-5

오늘 본문은 예수님께서 고난주간 목요일 로마 군병에게 잡히시기 전에 겟세마네로 나아가셔서 땀이 핏방울 같이 떨어지며 기도하신 사건을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 때에 예수님은 겟세마네로 가기 위해서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셨습니다. 성경을 볼 때에 기드론 시내는 구속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생명의 기준이 되는 시내 장소입니다.

다윗의 생명을 건진 시내입니다. 사무엘하 15:23에 다윗이 그의 아들 압살롬이 반역하여 그를 피해 도망갈 때에 기드론 시내를 건너므로 압살롬에게서부터 안심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시므이의 생명의 한계선이었습니다. 시므이는 피난길의 다윗을 저주한 자로 솔로몬이 왕이 된 후 그의 생명의 한계를 기드론 시내로 정했습니다(왕상 2:37). 그러므로 기드론 시내는 생명의 기준이 되는 곳입니다.



2. 죄악을 박멸하는 곳, 성결을 이루는 장소입니다.

아사가 왕이 되어 그의 모친 마아가가 섬긴 우상을 찍어 불사른 장소이며(왕상 15:13), 요시야 왕과 히스기야 왕 때에 성전 청결의 장소입니다(왕하 23:6, 대하 29:16). 즉, 기드론 시내는 성결과 거룩을 이루는 장소입니다.



3. 예수님께서 우리의 대속을 예비하신 장소입니다.

기드론 시내는 예수님께서 ‘땀을 피 같이’ 쏟으시며 우리의 대속을 이루기 위해서 건너가신 장소입니다(요 18:1, 눅 22:39-44). 왜 예수님께서는 대속을 예비하기 위해서 기드론 시내를 건너가셨습니까? 역사적으로 기드론 시내는 예루살렘에서 제사 드린 후 모든 짐승의 피들이 이곳을 통해서 예루살렘 밖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성전 제사의 짐승의 피는 우리의 죄를 대신해서 흘린 것이며, 그 피의 제사는 반복됩니다. 그러나 어린양 되시는 예수님께서는 단번에 우리의 죄를 속죄하셨습니다(히 9:12). 그 보혈이 지금도 우리에게 효력이 있고, 능력 있게 하는 피가 됩니다.



결론. 우리는 어떻게 기드론 시내를 건너갈 것입니까?

기드론 시내를 건넜던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삼하 15:23). 그러나 구속사적으로 예수님께서는 그 시내를 건너시되 인류의 죄를 걸머지고 고통 가운데 건너 가셨습니다. 그러나 부활의 승리를 바라보는 가운데 개가를 부르며 건너셨습니다(마 26:30). 우리도 이번 고난주간을 통해서 예수님의 고통에 함께 참여하지만, 부활의 영광도 바라보며 힘차게 나가는 그루터기들이 되기를 바랍니다.



김나다나엘 목사

2021년 03월 28일 정기집회

조회수 11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