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연합하여 하나님께 도전하며 바벨탑을 쌓을 때, ‘언어의 혼잡’이라는 하나님의 강력하고, 강제적인 분리의 조치로 세상이 나뉘게 되었다. 이때 ‘노아-셈-아르박삿-셀라-에벨’은 죄악의 탑을 쌓는 데 동조하지 않고 신앙의 이주를 하였지만, 벨렉은 분리되지 못하고 바벨탑을 건축한 자들과 함께 거하였다. 그곳에서 ‘벨렉-르우-스룩-나홀-데라-아브라함’이 탄생하였는데, 하나님은 이러한 가운데 태어난 아브라함을 찾으셨고, 그에게 ‘떠나라’라는 분리의 명령을 내리셨다.
1. 벨렉부터 데라까지(분리되지 못한 자-하나님이 제시하신 분리의 방법)
(1) 벨렉 = 분리되다, 나누다 : 세상은 교만이나 자기 안주와 같은 바벨탑을 쌓게 만들지만, 하나님은 혼합(바벨)되어 있는 이 세상의 부정한 상태에서, 믿음과 불신, 선과 악, 빛과 어둠, 영과 육이 분리되기를 원하신다(고후 6:14-16).
(2) 르우 = 친구, 특별한 관계 : 세상이 나뉘며 새 공동체가 만들어지던 때에, 생존을 위한 세상과의 이해관계, 유대 관계, 친분관계가 중요했다. 그러나 하나님과 친구 되어 친밀한 삶을 살아갈 때 우리의 갈 길을 밝히 알려 주신다(요 15:14-15).
(3) 스룩 = 넝쿨, 매우 단단한 힘 : 스룩은 인본주의 세상에서 자신의 힘을 의지하며 살았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과 말씀으로 성도의 영혼을 담장의 넝쿨처럼 칭칭 감아 함께 얽히게 함으로써 세상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하는 분리의 역사가 가능케 된다(요 15:7, 고후 5:14).
(4) 나홀 = 거친 숨, 헐떡거리다 :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헐떡거리는 삶이 아니라, 세상의 죄악과 맞서 “선한 싸움”(고전 9:25, 딤후 4:7)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하나님의 열심(고후 11:2)으로, 구속사의 완성을 위해 얼마나(고후 7:11)의 간절함을 가지고 더 많이 수고하는 자가 되어야 한다(고전 15:10).
(5) 데라 = 이주하다, 지체하다 : 사단은 하란과 같은 물질적인 풍요를 통해 우리를 붙잡고 하나님의 뜻이 지체되도록 만들지만, 최종 목적지를 향한 시선 집중으로 가나안 천국을 향해 끊임없이 이주해야 한다.
2. 아브라함의 분리 : 아브라함이 ‘떠나라’는 하나님의 분리의 명령에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하나님이 제시한 분리의 방법을 따랐기 때문이다.아브라함의 일생은 벨렉-데라의 일생과 달리 하나님의 친구가 되어(대하 20:7, 사 41:8, 약 2:23), 말씀만을 의지하며 좇아갔고(창 12:4) 구속사의 완성을 위해 헐떡이며, 지체하지 않고 나아간 결과 거룩한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기 위한 하나님의 영역을 확보하고, 하나님의 백성을 이루는 믿음의 조상이 되었다.
결론 : 하나님은 분리를 통해 성도의 신앙을 성숙하게 만드신다(사 55:11, 고후 6:14-7:1). 말씀의 명령에 따라 분리되는 삶은, 때론 기득권의 상실, 안식처의 상실, 고독한 나그네 길이 될 수도 있고, 무모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그 길은 거룩하고 영예로운 길이다. 아브라함이 철저히 분리하여 나아갈 때, 마침내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창 22:12)로 인정해 주시고 그를 통해 구속사를 이루어 가셨다.우리도 세상과 타협하지 말고 거룩한 분리의 길로 나아가며 구속사의 한 몫을 담당하는 자가 되자.
ㅡ 그루터기紙 1904호
오인정 전도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