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같이-동행-영원’의 축복 (고전 9:16-22, 마 26:36-37)

지혜로운 자와 동행하면 계속이 지혜를 얻고, 미련한 자와 함께하면 점점 계속 파괴됩니다(잠 13:20). 누구와 같이하느냐에 따라 그 영원(최후)은 나뉘게 됩니다. 지금 나는 누구와 같이하며 그 가치를 얻고 있습니까?



1. 서로의 유익을 위해 같이하는 자(동행하는 무리)가 되어야 합니다(고후 8:16-22).


(1) 예루살렘(구속사 본부)에 거액의 연보를 전달하기 위해 선택받은 디도 : 그에게는 바울과 이 연보를 전달하길 소원하는 교인들과 ‘같은 간절함’이 있었기에 택함을 받았습니다. 이는 평상시 신앙의 교류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입니다.


(2) 또 여기에 이름 없는 한 형제가 동행하였는데, ‘복음으로서 모든 교회에서 칭찬받는 사람으로, 여러 교회의 택함을 입은’ 사람입니다. 성경에 그 이름이 기록돼있지는 않지만, 생명책에 기록될 이름, 하나님이 기억해 주실 이름임을 확신하면서 디도와 협력했습니다.


(3) 또 여기에 이름 없는 한 형제가 동행하였는데, 이 사람도 ‘같은 간절함’을 여러 번 시험한 결과 더욱 간절함을 갖고 있었기에 택함 받았습니다. 즉, 이들은 ‘같이의 가치’를 깨닫고 구속사의 전진과 완성을 향하여 연합하였습니다. 이들은 그 길에 죽음의 위협과 아픔과 고난이 있어도 ‘같은 간절함’으로 이겨 나갔습니다.



2. ‘같이(=함께, 동행)’를 요구하시는 예수님(마 26:36-46)


(1) 십자가를 앞에 두고 겟세마네 동산에 기도하러 올라가신 예수님은 제자들이 예수님을 배신하고, 저주하며 부인할 것까지도 알고 계셨지만, 함께 기도하길 원하셨습니다. 이는 ‘시험에 들지 않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눅 22:40). 기도하지 않으면 시험에 듭니다. 그러나 마음을 같이하여 기도할 때 그 시험을 이길 수 있는 능력을 주십니다(행 2:1-4).


(2) 예수님은 제자들이 함께 기도하지 못했지만, 제자들을 향해 ‘일어나라 함께 가자’라고 강력히 요청하셨습니다. 이것은 구원받을 유일한 길은 예수님밖에 없으며(요 14:6), 예수님과 우리는 떼려야 뗄 수 없고, 나누려 해도 나눌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알려주신 것입니다.


(3) 이후 예수님의 부활을 목격하고 말씀을 깨닫고 믿은 무리는 ‘마음을 같이 하여 기도했고, 모이기에 힘썼으며, 한 마음과 한 뜻’이 되어 구속사를 위해 헌신하는 위대한 인물들이 되었습니다(행 1:14, 2:46, 4:31-32).


결론 : 같이의 가치 ‘영원’ - 예수님이 ‘함께 가자’ 말씀하신 것은 ‘목적이 뚜렷하니 함께 가자’는 것이다. 그 목적은, 너는 나와 함께 살아야 한다(살전 5:10)!


우리가 ‘같이의 가치’를 깨닫고, 예수님과 ‘동행’하며 나아갈 때, 그 동행은 ‘생명을 살리는 영원한 동행, 영원한 생명의 축복’이 됩니다. 에녹도 같이의 가치를 깨닫고 하나님과 동행하여 영원의 축복을 받았듯이, 오늘 우리에게 함께 가기를 원하시는 예수님, 그 길에 함께 가는 믿음의 동역자들이 많아지길 원하시는 예수님의 소원을 붙잡고 우리 같이 일어서서 구속사의 완성을 향해 영원히 같이 가는 그루터기가 되길 바랍니다.



ㅡ 그루터기紙 1882호

오인정 전도사


조회수 4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