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강력한 말씀의 병기 (고후 10:3-6)

성도의 삶은 영적 전투라 할 수 있습니다. 이 영적 전투에서 승리하기 위해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여러 가지 방어용 무기(투구, 흉배, 방패 등)를 갖춰야 하지만, 중요한 것은 적을 물리칠 수 있는 강력한 공격용 무기를 구비해야 합니다. 사도바울은 성령의 검, 곧 하나님의 말씀(엡 6:17)을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말씀의 병기가 가진 강력함이 어떠한지 오늘 본문에서 증거 해주고 있습니다.

1. 견고한 진을 파하는 강력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병기는 아무리 견고한 진이라 할지라도 다 파괴하는 강력함을 지녔습니다. 예레미야 선지자를 통해 하나님은 당신의 말씀을 “불과 방망이”(렘 23:29)로 표현하셨습니다. 모든 나무를 태우고 반석을 부스러뜨리는 강력한 힘이 있습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말씀은 레바논의 백향목을 꺾어 부술 뿐만 아니라 들송아지 같이 뛰게 하십니다(시 29:4-6). 이는 백향목처럼 교만하고 자만한 성도를 쳐서 하나님 앞에 어린아이처럼 기뻐 뛰는 은혜를 주시는 것을 말해주고 있습니다. 나아가 하나님의 말씀은 차돌같이 굳은 내 마음을 쳐서 은혜의 샘물이 터져 나오게 하십니다. 시편 기자는 광야에서 반석을 갈라 물을 낸 사건을 묵상하면서 이 사건의 핵심은 내 마음속의 완악하고 차돌처럼 굳은 죄악 된 속성을 변화시킨 것임을 깨달은 것입니다(시 114:8). 이는 에스겔 선지자가 선포한 대로 새 영을 통해 굳은 마음을 제하고 부드러운 마음을 줄 것이라는 비전의 성취를 가리킵니다.

2. 모든 이론을 파하는 능력

하나님의 말씀은 세상의 모든 지식과 이론을 파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마치 느부갓네살 왕의 시대에 큰 신상이 세상을 압도하며 다스렸지만, 결국 뜨인돌로 인해 우상은 온데간데없고, 우상을 친 돌은 태산을 이루어 온 세계에 가득한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시편 기자의 고백대로 “열방의 도모를 폐하시며 민족들의 사상을 무효케”(시 33:10) 하시는 하나님의 역사입니다.


3. 모든 생각을 사로잡아 그리스도에게 복종케 하는 말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병기는 모든 것을 파괴하는 능력을 지녔을 뿐 아니라, 내 생각을 사로잡아 그리스도께 복종케 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사람의 생각이나 마음은 때로는 자신의 의지대로 조절되지 않고 걷잡을 수 없이 흐를 때가 많습니다. 세상을 향한 욕심과 유혹으로 인해 수시로 오만가지 생각과 잡념이 나를 혼란스럽게 합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강력한 말씀의 병기는 그러한 모든 생각을 사로잡습니다. 우리의 “마음과 생각”을 지키시고(빌 4:7), 감찰하셔서(히 4:12) 오직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고 하나님의 말씀을 기록하게 해줍니다(히 8:10).

사단이 왕 노릇을 하는 이 세상에서 성도가 믿음을 지키고 살아가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강력한 말씀의 병기가 있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대적을 물리치고 하나님께 순종하는 믿음의 삶을 사시기 바랍니다.


홍봉준 목사

2020년 11 1일 정기집회


조회수 10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오늘 본문은 야곱의 약전(족보, 삶의 결과)을 말씀하면서 요셉에게 형제들과 다른 옷을 입혔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옷을 입는다’는 것은 사람의 신분, 지위, 능력 혹은 그 사람의 상태를 의미합니다. 성경에서 옷을 입은 것은 그 사람의 영적인 상태, 사명을 알려줍니다. 그러므로 요셉이 '채색 옷', 다른 사람과 구별된 '별다른 옷'을 입었다는 것은 그가 다

오늘 본문은 하나님께서 에스겔 선지자에게 에스겔 성전의 이상을 보여주시면서 성전의 제도, 식양, 출입하는 곳, 형상, 규례, 율례를 알려주신 후 성전의 모습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파괴되고 불태워진 과거 예루살렘 성전이 아닌 새 성전에 관한 이상을 에스겔에게 나타내시고, 그 이상의 내용을 이스라엘에게 보이라고 하신 것입니다. 그

사람은 누구나 잘 살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잘 산다는 것은 단지 물질적인 풍족을 누리면서 사는 삶일까요? 그런 기준이라면 ‘잘 사는 성도’ 또한 세상에서 많은 돈을 벌고, 물질적인 여유를 누리면서 사는 성도를 말하는 것일까요? 하나님의 기준으로 ‘잘 사는 성도’는 ‘하나님’과 ‘나’ 사이가 죄의 담으로 막혀있지 않는 사람입니다. 1. 잘 사는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