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감사의 조건

'감사의 조건이 넘쳐나게 해 주세요.' 저의 평소 기도제목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발간된 휘선 설교집 2권을 읽으면서, 또 감사에 대한 설교를 들으면서 그 기도 제목이 어쩌면 나의 교만한 모습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동안 감사의 조건이 넘쳐나게 해주시라고 요구만 했지, 진정 나의 삶 속에서 감사를 찾고 있긴 했을까 라는 생각에 회개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살전 5:18)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


시계추가 '똑딱' 할 때 '똑'만 빠져도 범사가 아니라는 말씀을 들었을 때, ‘진짜 범사에 감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일까?, 쉴 틈이 없는 감사란 무엇일까? 들숨 때 감사, 날숨 때 감사를 해야 하는 것인가?, 어떻게 그렇게 감사할 수 있을까?, 욥처럼 말로 형용 할 수 없는 고통이 내게 온다면, 나는 그 상황에서 진심으로 감사할 수 있을까?’ 등 많은 생각으로 저의 삶과 신앙을 돌아볼 수 있었습니다.


생각해보면 많이 부르는 찬양들 중, 감사는 제 입술로 수백 번 고백했던 곡조 있는 기도였습니다. ‘나 가진 재물 없으나’ 찬양의 작사가 송명희 시인은 뇌성마비 장애인이지만 ‘나 가진 재물 없으나, 남이 가진 지식 없으나, 남에게 있는 건강 있지 않으나, 남이 못 본 것을 보았고, 남이 듣지 못한 음성 들었고, 남이 받지 못한 사랑 받았고, 남이 모르는 것 깨달았네' 라고 몸이 불편한 자신의 상황 속에서도 감사를 노래하고 있었고, 우리가 흔히 부르고 있는 '날 구원하신 주 감사' 찬양에서도 응답하신 기도, 거절하신 기도, 기쁨과 슬픔, 그리고 아픔까지도 감사함을 노래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저도 매일의 삶 속에 저 자신만의 감사를 찾아보고자 하였고, 저도 모르게 망각하고 있었던 부분에서 감사가 넘쳐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기도를 할 때에 삶을 돌아보며 회개 하는 가운데 모든 것이 감사했고, 회개를 통해 감사 할 수 있음에 감사했습니다.


회사에서 모든 상황 가운데 내 자신을 돌아보면서, 상사의 마인드나 업무 진행이 마음에 들지 않고 가끔은 그만두고 싶다는 생각에 사로잡힌 저를 발견하는 순간에, ‘그 형제를 미워하는 자마다 살인하는 자니 살인하는 자마다 영생이 그 속에 거하지 아니하는 것을 너희가 아는 바라' (요일3:15) 라는 말씀이 떠오르게 하심으로 바로 저의 모습을 회개하고, 그래도 일 할 수 있도록, 재물 얻는 능을 허락해 주심에 감사했고, 실수 때문에 윗사람에게 혼날 때도, 정신적으로는 힘들지만 그 과정을 통하여 더 성장할 수 있도록 해주심에 감사했습니다. 교회에서 주일 경건회에 늦었을 때, 회개함과 동시에 그래도 주일을 지킬 수 있도록 해 주심에 감사했습니다. 세상에서나 교회에서나 몸이 조금 지치고 힘들어도, 마음은 지치지 않도록 산 소망을 주시고 늘 은혜가운데 채워 주심에 감사했습니다.


길을 걷다가 넘어지거나 사고가 있어도 늘 지켜주시고, 그를 통해 저의 생각과 삶을 돌아보게 하셔서 거룩한 길로 인도하여 주심에 감사했습니다. 이렇게 하나하나 감사하다보니, 볼 수 있는 눈을 주시고, 들을 수 있는 귀를 주시고, 말할 수 있는 입을 주신 것도 감사하게 느껴졌습니다. 너무나도 당연하게 생각했던 삶이었지만 그 모든 것을 허락하여 주시고, 누리게 해 주시고 보호하여 주심에 더욱더 감사했고, 그 가운데 날 향하신, 우리를 향하신 아버지 하나님의 넓고 크신 사랑을 벅차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삶을 살아가다보면 너무나도 당연해지는 모든 일상 속에 감사를 잊고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정말 그 사랑을 잊지 않고, 감사의 조건들을 하나하나 찾아서 온전한 감사를 드림으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시는 저와 모든 그루터기 되시길 간절히 소망합니다.


(시 50:23) 감사로 제사를 드리는 자가 나를 영화롭게 하나니 그 행위를 옳게 하는 자에게 내가 하나님의 구원을 보이리라



ㅡ 이진원 부회장

(그루터기紙 1872호)


조회수 10회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이스라엘의 두령이 그를 영솔하였고 백성이 즐거이 헌신하였으니 여호와를 찬송하라“ 사사기 5장 2절 위의 구절은 사사기 4장과 5장 내용 중 일부로 리더모임 때 받은 말씀입니다. 이스라엘과 야빈의 전쟁은 다윗과 골리앗의 싸움처럼 불리한 전쟁이었습니다. 하지만 여사사 드보라가 앞장섰고 그로 인해 처음에는 망설였지만 믿음으로 일어선 바락과 여인의 몸으로 적장을

전도서 3장은 ‘때’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사람이 살다 보면 언제나 좋은 때를 살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또 반대로 언제나 힘든 때만 있지는 않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세상 모든 일에는 그것이 이루어질 때가 있음으로 우리에게 일어나는 삶의 모든 순간들은 하나님의 경륜 속에 있다고 말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제게 이 말씀은 힘든 때를

젊은 세대를 초월하여 전 세대를 아울러 MBTI는 크게 유행했고, 이미 우리의 삶 속에 정착하여 회사, 가족, 친구, 더 나아가서 처음 보는 사람에게까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MBTI가 어떻게 되세요?”하며 질문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 질문에는 “대담한 통솔자”, “정의로운 사회운동가”, “용감한 수호자”와 같은 수식어를 더해 본인이 어떤 사람에 해당

bottom of page